2005년 [세계일보] 신춘문예를 통해 문학평론가로 등단했다.
[떨림과 사귐의 기호들] [김수영과 김춘수, 적극적 수동성의 시학] [슬픔과 아름다움이 우리 삶을 변화시킬 것이다] [마르크스주의와 한국의 인문학](공저) [인문학, 정의와 윤리를 묻다](공저) 등을 썼다.
현재 인천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.
그동안 쓴 글을 모아 읽으며 설렘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낀다. 부끄러움이 없지 않지만 그래도 글을 한데 모은 것은 이런 부끄러움도 내가 감당해야 할 몫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. 나의 약점을 모를 수는 없다. 낱말 하나를 고르고, 문장을 고치는 데 공을 들이다 보니 큰 그림을 그리는 데는 미숙했다. 세부에 집중하다 보니 갈피 짓는 데는 부족함이 없지 않았다. 언어의 결을 따르기 위해 큰 담론은 되도록 피했다. 내가 좋아하고 글을 쓸 수 있는 시인들에 대해 쓰다 보니 잘 알지 못하는 시인들에 대해서는 잘 쓰지를 못했다. 아쉬움이 크지만 앞으로 써야 할 글이 많이 남았다고 생각한다.
여기 실린 글들을 쓰기 위해 시들을 읽으며 시인들의 생각에 가닿고자 했고, 그들과 같이 느끼고자 했다. 공감할 수 있는 감수성이 부족하여 언제나 생각은 애먼 데를 헤매었고, 글은 좀체 진창에서 빠져나오기 힘들었다. 그러나 내 글에 발화점을 제공했던 이들이 가끔 보내는 동감에서 큰 원기를 얻었다. 그 기운으로 그나마 계속 글을 써올 수 있었다.
부분과 전체를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할 필요성을 절감한다. 시에 대해서 글을 쓰는 것은 언제나 쉽지 않은 일이었지만 즐거움은 컸다. 생각의 한계를 넓혀 주었기 때문이다. 나에게 말을 걸어주어 귀를 기울이게 해준 시와 시를 쓴 시인들에게 감사한다.
문학을 공부해오며 은혜 입은 분들께 이 자리를 통해서나마 감사의 말씀을 드릴 수 있어 다행이다. 학부 시절 우연히 듣게 된 “문학의 이해”와 “현대비평론” 수업을 통해 인문학에 눈뜨게 해주시고 삶과 문학의 지침이 되어주신 김인환 선생님, 그리고 헤매고 맴돌던 시절 나를 “안암문예창작강좌”라는 모임을 통해 문학으로 인도해주신 최동호 선생님께 뜨거운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.
첫 번째 비평집을 내는 마음이 기쁨보다는 착잡함에 가깝지만, 참으로 중요한 것은 메마름을 견디는 일이라는 스승의 말씀을 되새기며 내가 던진 물음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정진해 나가고자 한다.
2013년 여름